반응형
오늘 환율에 대해서 개념을 정리해주신 가치투자연구원 행복씨앗님의 강의를 듣고 기록을 해두고자 정리를 해본다.
환율 상승- 원/달러 강세 랑 같은 말이다.
예로 1달러가 1000원에 거래될때 1달러를 사려면 1200원이 되는것을 환율 상승 - 원/달러 강세라고 한다.
환율 상승 - 원/달러가 강세일때는 국내 달러대비 원화 유동성이 증가를 하고 수출이 증가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좋아진다. 1달러로 더 많은 국내 제품을 살수 있으니깐. 그러다보면 결국 국내 돈이 많이 들어오고 원화가 늘어난다.
환율 하락 - 원/달러 약세 랑 같은 말이다.
예로 1달러가 1000원에 거래될때 1달러를 사려면 900원이 되는것을 환율 하락 - 원/달러 약세라고 한다.
환율 하락 - 원/달러가 약세일때는 국내 달러 대비 원화는 줄어들고 달러 유동성이 증가를 한다. 그러면 우리나라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약해진다. 그래서 수출은 줄어드는 반면, 달러가 많아지니 수입은 늘어나고, 국내 원화가 줄고 달러가 많이지게 된다.
반응형
'재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들은 부자가 될수 없다고 한다 (0) | 2018.11.12 |
---|---|
성공의 제1원칙은 꾸준함이다. (0) | 2018.11.07 |
자산은 모래시계처럼 불어난다. (0) | 2018.10.12 |
노후 준비는 언제 해야 되는것인가? (0) | 2018.10.05 |
우리동네 집값은 떨어지지 않았다. (0) | 2018.10.01 |